내가 처음 GUI수업을 들었을때가 생각난다. 처음 HTML로 못생긴 웹을 찍어내고, 그래도 내 딴엔 자료구조수업만 들었어서 처음으로 내 손으로 뭔가 웹사이트를 만든게 너무 신기했다. 그래서 이걸 동생한테 보여주려고 그냥 열려있는 html파일의 localhost:3000을 동생한테 복사해서 보내주며 내가 만든 웹사이트인데 어떻냐고 물어봤더니 동생은 열리지 않는다고 했다. 저땐 그냥 html로 웹만 찍어내면 모두가 그 웹에 접근해 소스를 볼 수 있는줄 알았다.....
하지만, 우리가 진짜 웹을 개발하는 과정에 있어서 배포하는 과정도 엄청 중요하고, 절대 빼먹을 수 없는 것 중 하나이다.
자 그러면, 오늘은 웹 서비스 호스팅, 도메인 설정(이걸 통틀어서 전문용어로 Deploy라고 한다.)을 하는 과정을 짚고 넘어가 보자.
자 먼저, 외부에 공개를 하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존재한다.
- 내 컴퓨터 서버로 공개하기
- 외부 서버 빌리기
그러나 보통은 두번째 옵션 '외부 서버 빌리기' 를 많이 사용한다. 이게 훨씬 간편하고 직관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위 내용을 간단하게 도식화 한 그림이다.
위의 그림처럼 외부 서버에 내가 만든 웹 사이트를 올려놓고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면 언제든 가져다 주는것이 '배포'의 기본적인 원리이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등장하기 전에는, 서버가 필요한 곳마다 서버를 따로 설치해야 했다. 예를들어, 어떠한 기업에서 그 기업만의 독점적인 서버를 운용하려고 한다면, 그 기업은 서버실을 따로 만들어 서버 구축에 필요한 하드웨어들을 설치 해야 했었다. 하지만, 클라우드 서비스가 등장한 이후로는 물리적으로 서버를 설치하지 않고도, 가상의 서버를 이용료를 내고 이용 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가 많이 알고있는 서버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은 대표적으로 AWS(Amazon Web Service), MS Azure, Google Clould등등이 있다.
오늘은 무료 클라우드 서비스중 하나인 netlify.com에서 실습을 해 보도록 하겠다.
Scale & Ship Faster with a Composable Web Architecture | Netlify
Realize the speed, agility and performance of a scalable, composable web architecture with Netlify. Explore the composable web platform now!
www.netlify.com
이 곳에 접속헤서 먼저 회원가입을 한다. 회원 가입을 마치고, 왼쪽에 'sites'탭으로 이동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일 것이다.
그러면 저기 보이는 'browse to upload'를 누르고, 원하는 index.html파일을 넣으면 이제 누구나 자동으로 생성된 URL을 가지고 그 웹에 접속 할 수 있다.
그럼 이렇게 정말 간단하게 웹을 배포하는법을 알아보았다. 다음에는 '학부연구' 카테고리에서 직접 학교 서버에 웹을 호스팅 하는것을 포스팅 해 보도록 하겠다!
'Cloud Compu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Docker? 개념과 간단한 설명 (0) | 2024.04.11 |
---|